티스토리 뷰

49제, 49재 어떤게 맞는 걸까요? 많은 분들이 49제인지 49재인지 헷갈려 하시는데요 제는 제사할 제, 재는 재개할 재 로 쓰이기 때문에 49재가 맞는 표현이라고 합니다.

재의 근본적인 의미를 살펴보면 제사를 말하는 것이 아닌 재공 양의 뜻을 가진 불교 용어입니다

49재란?

사람이 임종하게 되면 저승에서 명부시왕 중에 7대왕들에게 7일째 마다 심판을 받아 49일 째 되는 날에 최종 심판을 받게 되는데요 이 때에 환생 여부를 결정하게 되는데 이승에서 고인을 위해 재판하는 날마다 제사를 지내 빌어주어 고인의 죄를 조금이라도 덜어 그 공덕으로 좋은 곳에 가서 다시 환생할 수 있게 한다는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49재 지내는 방법

고인이 돌아가신 날을 기점으로 해서 7일에 한 번씩 제사를 지내는데요 초재, ,2재, 3재, 4재, 5재, 6재 그리고 막재 이렇게 총 7번 제사를 지내게 됩니다

49재 상차림

49재 상차림의 경우 생선, 육류 등을 올리지 않는데요 하지만 살아 생전 고인께서 좋아하던 음식이라면 올리는 경우도 있습니다 또 귀신을 쫓아내는 소금, 팥, 고춧가루, 마늘 등으로 알려진 음식은 사용하지 않도록 합니다

 

고인이 돌아가신 날을 기점으로 7일에 한 번씩 제사를 지내게 되는데요 초재, 2재, 3재, 4재, 5재, 6재, 막재 이렇게해서 총 7번의 제사를 지내게 됩니다 초재~6재까지 매일 새 밥을 지어서 올리거나 고인이 생전에 좋아하시던 음식을 올리기도 합니다

 

49재 상차림은 원래 생선, 육류 등을 올리지 않지만 생전에 고인께서 좋아하던 음식일 경우 올리기도 합니다 또 소금, 마늘, 팥, 고춧가루 등 귀신을 쫓아내는 것으로 알려진 음식은 사용하지 않습니다

49재 의미

49재는 6세기경 중국에서 생겨난 의식으로 유교적 조령숭배사상, 불교의 윤회사상이 절충되어 탄생한 것으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7일마다 7회에 걸쳐서 49일 동안 죽은 영혼이 좋은 곳으로 환생할 수 있게 가족분들께서 공을 들이는 제사를 지내는 병복을 기리는 의식입니다.

49재 계산법

49재 계산 방법을 살펴보면 사망한 날로부터 계산을 하면 되는데요

9월 21일 사망일

9월 27일 초재

10월 4일 2재

10월 11일 3재

10월 18일 4재

10월 25일 5재

11월 1일 6재

11월 8일 막재

이렇게 계산하시면 됩니다.

 

49재 계산은 망자가 돌아가신 날을 1일로 시작해서 이후 7일마다 재를 올려 총 7번의 재를 올린다고 하는데요

이를 계산하는 방법은 요일로 계산하는 게 기억하기 쉽다고 합니다

 

49재 계산 예를 들기 위해 돌아가신 날의 요일을 수요일로 가정해 보면 쉽게 알 수 있겠죠

오늘은 49제 49재 계산 의미 절차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more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