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사람이 살고 죽는것은 하늘의 운명이며 거스릴수 없는 과정으로 오는 순서는 있어도 가는 순서는 없다는 말이 딱 맞는것 같습니다.

준비되어 있어도 그렇고 갑작스럽게 황망하게 상을 당하면 무엇을 어떻게 해야하는지도 모르게 장례를 치르게 되면 장례일정이 끝나면 탈성, 49제등 여러가지 의식들이 또 기다리고 있습니다.

요즈음은 장례지도사분들이 상을 당하면 찾아오셔서 친절하게 절차 및 준비해야 할것들을 일러주시지만 기본적인 것을 알고 있으면 조금은 덜 당황스럽고 여유가 있을것 같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장례절차중 49재 의미, 계산방법 및 상차림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49재란?

 

 

49재란 사람이 죽은 뒤 49일째에 치르는 불교식 제사의례를 말하며 매 7일마다 7번의 제사를 지내므로 칠칠재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사람은 죽은 후 출생의 조건을 만나지 못하면 다시 수차례 죽고 태어나는 식으로 7일을 여러 번 경과하는데 그 최대기간은 49일이라고 하며

그 사이에 죽은 자의 공덕이 심판을 받고 그에 따라 내세가 확정되므로 더 좋은 내세를 위해 지내는 의식이라고 합니다.

인터넷을 찾아보면 많은 분들이 49재가 아닌 49제로 검색하고 있고 용어를 헷갈려하는데 제사 제(祭)가 아닌 재계할 재(齋)가 정확한 표현이라고 하니 이번 기회에 반드시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49재의 기원은 불교에서 사람은 죽어서 7일마다 다시 생사를 반복하다가 마지막 49일째는 반드시 출생의 조건을 얻어 다음에 올 삶의 형태가 결정되어 좋은 결정이 이루어지도록 7일마다 경을 읽고 재를 올린다고 합니다.

 

49제 계산방법

 

 

49재는 고인이 돌아가신 날을 1일로 해 계산하며 돌아가신 날로부터 일주일마다 7번에 걸쳐 49일간 고인의 명복을 빌며 재를 올리게 됩니다.

49재는 7번의 재를 지내게 되는데 고인이 돌아가신 날이 49재의 첫날이 되고 다음 7일이 되는 날이 첫재, 14일이 이재, 21일이 삼재, 28일이 사재, 35일이 오재, 42일이 육재, 49일이 마지막 칠재가 됩니다.

7일마다 재를 지내기 때문에 예를 들어 돌아가신날이 월요일이라면 재를 올리는 날은 일요일이 되고 매 일요일마다 7번의 재를 올리면 됩니다.

49재는 원래 7번의 재를 올려야하나 직장생활 및 개인의 사정에 따라 형식 및 절차를 간소화하여 최근에는 첫재와 막재만 지내는 경우도 있으며 어떤 경우에는 막재만 올리는 경우도 있습니다.

49재를 계산하는 방법은 위에서 설명드린바와 같은데 실제로 기억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는 요일로 계산하는 방법이 금방 이해가 가실겁니다.

돌아가신날을 1일로 하며 월요일이면 첫재가 일요일이고 매번 일요일마다 재를 올리면 됩니다.

 

49재 복장

 

 

49재에 참석할때 옷차림은 장례식에 참석할때 처럼 깔끔하고 단정한 차림이 기본이며 무채색 계통의 옷을 입는것이 가장 좋으며 가능하다면 정장을 입어 격식을 갖추는 것이 좋습니다.(정장은 무조건적인 사항은 아니며 부득이한 경우에는 정장이 아니어도 상관은 없습니다.)

남성의 경우 검정색 정장을 입는 것이 무난하나 검정색 양복이 준비되지 못한 경우 감색이나 회색 양복도 무방하며 와이셔츠는 될 수 있는 대로 화려하지 않은 흰색 또는 무채색 계통의 단색으로 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넥타이와 양말은 검정색이 기본이나 검정색 계열의 넥타이가 없는 경우에는 넥타이를 하지 않아도 상관은 없습니다.

여성의 경우 검은색 옷을 입는 것이 좋으며 검정색 구두에 스타킹이나 양말을 필히 착용하여 맨발이 보이지 않도록 하여야 하며 화려한 디자인의 가방 및 액세서리나 진한 화장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49재 상차림

49재 상차림은 총 5열로 차리게 되며 귀신을 쫓는다고 알려진 고춧가루, 마늘, 소금 등을 사용을 피하고 떡 고물은 붉은 팥이 아닌 흰 고물을 써야 하며 끝에 "치"자가 들어간 생선인 꽁치,갈치, 삼치등의 사용도 금하셔야 합니다.

 

49재 상차림은 총5열로 열마다 놓아야 할 음식과 방향이 정해져 있으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1열 : 시접과 잔반(술잔, 받침대), 떡국

- 2열 : 어동육서(생선은 동쪽, 고기는 서쪽)

- 3열 : 탕류

- 4열 : 좌포우혜(좌측에 포, 우측에 식혜)

- 5열 : 조율이시(왼쪽부터 대추, 밤, 배, 곶감)

마지막으로 홍동백서라 하여 붉은 과일은 동쪽, 흰과일은 서쪽에 놓으면 되며 일반적인 추석 및 설날 차례상 차림과 별차이가 없으니 한번 주의깊게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49재기간에는 고인의 죽음을 기억하기 위해 즐겁고 기쁜 일은 금기하는 것이 원칙이며 여행을 가거나 술을 마시고 놀러다니거나 하는 것은 피하셔야 합니다.

49일재를 올릴때 정성껏 상차림을 해주셔야 하고 49재때는 고인의 소지품이나 생전의 물건등을 태워 극락왕생을 빌어주어 이승에서 못다한 한을 풀어주셔야 하며 49재를 통해 고인이 다시 인간의 몸으로 태어난다고 여기고 있으며 자손들은 고인이 편안한 곳으로 가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재를 지내게 된다고 합니다.

고인의 마지막 가시는길 편안하게 가실수 있게 도와드리는것도 남은 유가족들이 할수있는 마지막 배려로 갑작스럽게 상을 당하면 경황이 없이 무엇을 어떻게 해야하실지 모르니 이번 포스팅 참고하셔서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more
«   2025/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글 보관함